분류 전체보기(625)
-
URL vs. URI
URLURL은 Uniform Resource Locator의 약자입니다. 이는 인터넷 상에서의 자원의 위치를 나타냅니다.웹 상에서의 특정 리소스, 주소 등의 위치를 나타내는데 사용합니다. ex.https://www.example.com/index.htmlURI도 URL의 한 종류입니다. URIURI는 Uniform Resource Identifier이며 이는 모든 물리적, 논리적 고유 리소스의 식별자입니다.즉, URI는 URL을 포함하는 보다 광범위한 수준의 식별자 입니다. URI에는 URI 외에 URN(Uniform Resource Name), mailto:, tel: 등이 있습니다.
2025.03.11 -
Windows iterm인 Tabby
맥을 개발에 사용할때 좋은점 중 하나가 iterm이라는 좋은 terminal program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 입니다.Windows에서는 windowsterminal을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기능이 iterm만큼 다양하지 않습니다. iterm만큼 좋은 터미널 프로그램이 없는지 찾아보다가 Tabby의 존재를 알고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Tabby는 iterm만큼 혹은 그 이상으로 많은 좋은 기능들을 제공합니다. 특히 tab을 새롭게 열 때 미리 지정한 profile 대로 tab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tab이 열릴때 자동으로 실행할 항목들을 script를 작성해서 지정할 수 있으며 화면을 보이는 방식도 입맛에 맞게 쉽고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from https://tabby.sh
2025.03.11 -
LiveData 사용 이유
LiveData는 '관찰' 가능한 data holder 데이터 변경 시 UI 컴포넌트(activity 혹은 fragment)에 알림 LiveData 외 Flow, RxJava의 Observable 사용 가능 혹은 Coroutines에서 suspend 함수로 query 작성 LiveData는 Android architecture에서 잘 지원해 주기 때문에 이를 사용하는 것이 좋음 ex. ViewModel의 lifecycle aware 기능에서 LiveData를 사용
2025.02.27 -
맥북에서 펑션키 사용하기
맥북에서 펑션키를 누르면 펑션키에 할당된 기능이 우선적으로 동작합니다. 예를들어 F8를 누르면 미디어의 재생 시작/멈춤으로 동작합니다. 그런데 어플리케이션 디버깅 시 F9나 F10 혹은 F7이나 F8을 눌러 디버거의 기능을 사용해야 하는데 펑션키를 누르면 디버깅과 관련된 기능이 동작하지 않아 여간 곤란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펑션키가 F 키 그대로 사용되게 하려면 설정에서 키보드로 진입 한 후 '키보드 단축키...' 버튼을 누릅니다. 여기서 기능 키를 선택하고 F1, F2 등의 키를 표준 기능 키로 사용을 활성화 합니다. 이제부터 미디어 키 동작등을 펑션키로 사용하려면 Fn 키를 누르고 F8 키를 눌러줘야 합니다.
2025.02.26 -
github to gitlab
github의 모든 branch, tag 내용을 gitlab에 반영하는 방법다음은 github의 test라는 repository의 모든 branch, tag들을 gitlab의 your repository로 반영하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우선 github의 test repo를 clone 합니다. # GitHub 프로젝트 클론git clone https://github.com/test.gittest로 들어가서 모든 branch 내용을 fetch 하여 local로 가져옵니다. cd test# 모든 원격 브랜치와 태그 가져오기 및 로컬 추적git fetch originfor remote in $(git branch -r | grep origin/ | grep -v '\->'); do git branch --..
2025.02.05 -
gitlab 기본 사용법
Basic usage1코드획득프로젝트 코드를 획득합니다.git clone https://${ID}:${PAT}@repo.url.git2브랜치 생성코드 작업을 수행할 브랜치를 생성합니다. git checkout -b feature/feature1branch 명은 보통 다음의 룰을 따라 작성합니다. * feature의 경우 feature/feature_name* bugfix의 경우 bugfix/bug_fix_name3수정 사항 추가작업 브랜치에서 코드 작업 후 수정 사항을 staging area에 추가합니다.git add my_work.ccp4커밋 생성staging area에 반영된 수정 사항으로 커밋을 생성합니다. git commit 이후 나타나는 화면에서 commit comment를 작성합니다. 다음과 ..
2025.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