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nv(116)
-
Karabiner 키보드 별 프로파일 설정 (원격 윈도우 접속 시 한/영키 활성화)
키보드의 설정을 상황에 따라 다르게 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이때 Karabiner의 프로파일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우선 left_comand와 left_option의 입력 위치를 뒤바꾸는 설정을 다음과 같이 특정 키보드(K8 pro)에 대해서 적용하는 설정이 있다고 하겠습니다. 이 설정을 windows_remote_profile이라고 만들어진 프로파일의 설정으로 합니다. 이후 다음과 같이 right_option을 f18에 할당하는 설정도 추가한다고 해 보겠습니다. (이는 맥에서 한영키를 눌러 한글/영어의 입력을 전환하는 기능입니다) 이는 Default profile에 저장되었다고 해 보겠습니다. 이제 한/영키를 눌렀을때 한/영 키 전환을 하고자 한다면 Default profile을 선택..
2025.03.11 -
맥 펑션키의 간단한 활성화 및 비활성화
맥을 사용할때 불편한 것 중에 하나가 F1, F2, 등의 펑션키를 누르면 F1, F2로 동작하지 않고 화면 조정이라던가 볼륨조정, 혹은 미디어 재생 제어가 실행된다는 점 입니다. 평소에는 이렇게 제어되는 것이 편리하지만, 개발할때 특히 디버깅 모드로 진입해서 F7이 step-in, F8로 step-over 등을 하고 싶을때 불편함이 발생합니다. 이는 다음과 같이 설정에서 쉽게 수정할 수 있습니다. 설정 > 키보드 > 키보드 단축키를 클릭하면 다음의 화면이 나타납니다. 여기서 기능 키를 표준 기능 키로 사용을 활성화 하면 F1, F2를 누를때 F1, F2로 동작하게 됩니다.
2025.03.11 -
Windows iterm인 Tabby
맥을 개발에 사용할때 좋은점 중 하나가 iterm이라는 좋은 terminal program을 사용할 수 있다는 점 입니다.Windows에서는 windowsterminal을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기능이 iterm만큼 다양하지 않습니다. iterm만큼 좋은 터미널 프로그램이 없는지 찾아보다가 Tabby의 존재를 알고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Tabby는 iterm만큼 혹은 그 이상으로 많은 좋은 기능들을 제공합니다. 특히 tab을 새롭게 열 때 미리 지정한 profile 대로 tab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tab이 열릴때 자동으로 실행할 항목들을 script를 작성해서 지정할 수 있으며 화면을 보이는 방식도 입맛에 맞게 쉽고 편리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from https://tabby.sh
2025.03.11 -
github to gitlab
github의 모든 branch, tag 내용을 gitlab에 반영하는 방법다음은 github의 test라는 repository의 모든 branch, tag들을 gitlab의 your repository로 반영하는 과정을 설명합니다. 우선 github의 test repo를 clone 합니다. # GitHub 프로젝트 클론git clone https://github.com/test.gittest로 들어가서 모든 branch 내용을 fetch 하여 local로 가져옵니다. cd test# 모든 원격 브랜치와 태그 가져오기 및 로컬 추적git fetch originfor remote in $(git branch -r | grep origin/ | grep -v '\->'); do git branch --..
2025.02.05 -
gitlab 기본 사용법
Basic usage1코드획득프로젝트 코드를 획득합니다.git clone https://${ID}:${PAT}@repo.url.git2브랜치 생성코드 작업을 수행할 브랜치를 생성합니다. git checkout -b feature/feature1branch 명은 보통 다음의 룰을 따라 작성합니다. * feature의 경우 feature/feature_name* bugfix의 경우 bugfix/bug_fix_name3수정 사항 추가작업 브랜치에서 코드 작업 후 수정 사항을 staging area에 추가합니다.git add my_work.ccp4커밋 생성staging area에 반영된 수정 사항으로 커밋을 생성합니다. git commit 이후 나타나는 화면에서 commit comment를 작성합니다. 다음과 ..
2025.01.15 -
WSL에서 git clone 시 config.lock failed 오류 해결
Cloning into 'myproject'... error: chmod on /mnt/d/projects/etc/myproject/.git/config.lock failed: Operation not permitted fatal: could not set 'core.filemode' to 'false' WSL에서 git clone 시 위와 같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는 WSL이 HDD에 대한 접근 권한을 가지고 있지 않아서 발생하는 오류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WSL에서의 mount 설정을 다음과 같이 수정해야 합니다. sudo nano /etc/wsl.conf다음의 내용을 추가[automount]options = "metadata"wsl --shutdownsudo umount /mnt..
2024.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