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gramming/Python(21)
-
numpy array
numpy에서의 배열 선언 방법 우선 numpy를 import import numpy as np 4x2 행렬 선언 방법들 np.ones((4, 2)) # shape 객체를(튜플로) 입력으로 받기 때문에 괄호 필요 array([[1., 1.], [1., 1.], [1., 1.] [1., 1.]]) 이외에 np.zeros((4, 2))는 모든 값이 0으로 채워진 배열을 생성합니다. 파이썬 리스트를 넘파이 배열로 변환 원래 있던 파이썬 배열을 numpy 배열로 변환할 수도 있습니다. arr = np.array([[1, 2], [3, 4], [5, 6]]) print(arr) array([[1, 2], [3, 4] [5, 6]]) 배열 선언 시 원소의 type을 지정 arr = np.array([[1, 2], ..
2023.09.05 -
numpy frombuffer
numpy를 사용해 binary file을 읽는 것은 numpy.readbuffer를 통해 가능합니다. 이를 사용하면 버퍼 내 내용을 1차원 배열로 만들어 줍니다. numpy.frombuffer(buffer, dtype=float, count=-1, offset=0) buffer: 입력 binary data dtype: datatype count: data 수 (-1 지정 시 전체 read) offset: start offset ex. data = b'\xA1\xA2\xA3\xA4\xA5\xA6\xA7\xA8' np_data = numpy.frombuffer(data, dtype=numpy.float32) print(np_data)[-7.0965486e-17 -1.8612995e-14]
2023.09.05 -
Python glob
glob ? 특정 경로 내 파일들 중 특정 조건으로 필터링하여 파일들의 목록을 획득하고자 할 때 사용합니다. Usage 특정 폴더 내 모든 파일의 목록을 획득 합니다. recursive에 True를 설정하면 하위의 모든 폴더들에서도 재귀적으로 파일을 탐색합니다. import glob glob.glob('mydir/*.jpg', recursive=True) print(glob)['mydir/file1.jpg', 'mydir/file2.jpg']regular expression을 지원하기에 다음과 같이 특수 *, ?, + 등의 문자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glob.glob('mydir/file[a-z]+')
2023.09.05 -
loguru.logger
https://loguru.readthedocs.io/en/stable/api/logger.html loguru.logger — loguru documentation Logger – A logger wrapping the core logger, but transforming logged message adequately before sending. loguru.readthedocs.io 설치 pip install loguru 사용법 include from loguru import logger def func1(): logger.info("+") 위와 같이 logger를 통해 info를 출력하는 코드를 작성한 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상세한 정보를 출력합니다. 2022-04-24 21:15:41.917..
2022.04.25 -
Click: the Python CLI library
click ? command line interface를 쉽게 만드는데 사용되는 library 입니다. installation 간단히 pip를 통해 설치 가능합니다. pip install click 사용법   click.command click은 decorator를 통해 command를 정의합니다. CLI를 통해 실행하고 싶은 함수 위에 @click.command()를 추가하여 click framework을 통해 실행 되도록 지정합니다. ex. # ... # main.py import click @click.command() @click.option('--name', default='', help='name to be echoed') def echo(na..
2022.04.25 -
파이썬 윤년 (Python leap year)
윤년이란? 윤년(閏年, leap year)은 태음력이나 태양력에서의 흐림에 의해 생길 수 있는 오차를 보정하기 위해 추가하는 날이나 주, 달이 들어가는 해 입니다. 한국에서의 윤년은 그레고리력에서 하루를 2월 29일에 추가하여 1년간의 날짜 수가 366일이 되는 해를 의미합니다. 윤의 의미 윤년의 "윤"의 의미는 "잉여"를 의미하기에 365일에 추가적 즉, 잉여로 추가된 날이 포함된 년을 의미합니다. 한국은 예로부터 음력을 주로 사용해 왔으나, 1896년부터 태양력인 양력을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양력은 그레고리력이라고 합니다. 이 그레고리력은 0.2422일이 적은 1년을 채우고자 이러한 치윤법을 시행했다고 합니다. 윤년 계산 100으로 나눠 떨어지지 않는 4년에 한 해는 윤년이 됩니다. 혹은 400으로 ..
2021.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