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roid multi modularization
2025. 9. 10. 10:34ㆍFrontend/Android
- 목차
반응형
1. include 문법과 실제 폴더 구조
예시:
kotlin
// settings.gradle.kts
include(":feature:login")
include(":feature:browse")
- 여기서 :feature:login과 :feature:browse는
프로젝트 루트(settings.gradle.kts가 위치한 곳) 기준 아래와 같이 폴더를 만들어야 인식됩니다.
프로젝트루트/
│
├── settings.gradle.kts
├── feature/
│ ├── login/
│ │ └── build.gradle.kts
│ └── browse/
│ └── build.gradle.kts
2. 소스 파일의 위치
해당 모듈의 소스 파일(JVM/Kotlin 클래스 등)은 그 폴더 아래 아래 규칙에 맞춰 놓습니다:
예시(Browse 모듈):
feature/
└── browse/
├── build.gradle.kts
└── src/
└── main/
└── java/
└── com/yourcompany/yourapp/feature/browse/
└── BrowseScreen.kt
- 또는
feature/browse/src/main/java/컴패니/패키지명/feature/browse/BrowseScreen.kt
새로운 파일을 만들 때(예: BrowseScreen.kt)는
Android/Kotlin convention에 따라 src/main/java/(or src/main/kotlin/) 아래 자신의 패키지에 맞게 위치시킵니다.
3. 정리
- include(":feature:browse")가 있으면
→ {프로젝트루트}/feature/browse/build.gradle.kts 생성 - 실제 구현 클래스(예: BrowseScreen.kt)는
→ {프로젝트루트}/feature/browse/src/main/java/com/yourcompany/yourapp/feature/browse/BrowseScreen.kt
(즉, 모듈 루트 아래 src/main/java/패키지/경로/안에 넣는 게 권장)
4. 주의사항
- 폴더명과 패키지명, 그리고 build.gradle.kts 위치가 일치해야 gradle가 잘 인식합니다.
- 소스코드는 src/main/java/ 이하 패키지 경로로 관리하는 것이 베스트 프랙티스입니다.
- Android Studio에서 "New Module"로 추가하면 자동으로 위 구조를 잡아줍니다.
반응형
'Frontend > Android' 카테고리의 다른 글
Android code browser (0) | 2025.08.28 |
---|---|
안드로이드에서 특정 액티비티를 기본 실행 되도록 하기 (0) | 2025.08.13 |
Flow usage pattern (0) | 2025.06.19 |
Android Service ex. (w/ AIDL) (0) | 2025.06.11 |
Android Studio 심볼(함수, 변수 등) 정의 부분으로 가기가 안되는 경우 (0) | 2025.05.07 |